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 직물 조직

직물의 삼원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으로 나누어지며 직물 조직을 자세히 살펴보시면 일정한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입는 옷들은 대부분 직물로 만들어 지며 직물은 평직, 능직, 수자직등으로 나뉘어지며 이들 직물의 조직은 삼원 조직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글에서 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 직물 조직 알아보겠습니다.

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 직물 조직

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 직물 조직

직물 조직 평직

가장 기초적인 조직

직물의 삼원조직 가운데 평직은 직물 조직에서 가장 간단하고 기초적인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날실과 씨실이 한 올씩 상하로 번갈아 교차되면서 직물이 형성된 것 입니다. 평직으로 짠 옷감의 경우에는 조직점이 상당히 많아서 얇으면서도 질기고 실용적이나 다소 거칠고 빳빳하며 구김이 잘 가는 섬유 입니다. 광목, 옥양목, 포플린, 모시, 베, 명주, 모슬린 등이 대표적인 평직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탁표시에 따른 세탁방법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옷 세탁 표시, 옷 빨래 방법, 세탁표시기호, 세탁 기호[알아보기]

씨실과 날실 한올씩 상하로 부침

평직의 경우에는 씨실과 날실이 각각 한 올씩 번갈아 상하로 부침 하면서 교차하게 되며 1완전 조직은 날실 2올과 씨실 2올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직물 가운데 1완전 조직의 크기가 가장 작지만 날실과 씨실의 교차점은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날실과 씨실 모두가 천의 표면에 나타나는 길이가 최소입니다. 특히 교차점이 많아서 평직으로 만들어진 천이 질기지만 잘 구겨지는 특징이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편이며 천의 종류가 많지 않을 것 같지만 질긴 특징으로 인해서 실용 직물로 사용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을 응용한 많은 종류의 천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장 오래된 직물 조직

순색의 천 이외에 날실과 씨실의 종류와 색상및 굵기와 밀도, 꼬임의 변화 또는 날실의 장력 변화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들을 혼용하면 다양한 외관과 촉감의 원단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평직의 경우에는 직물이 만들어 지면서 가장 먼저 출현한 직물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 5,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이집트 유적에서 발견된 마포가 평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견직물이 평직으로서 가장 오래된 유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직 특징

1/1 교착점 굴곡점 X와 O가 만나는 곳이 가장 많은 직물 조직입니다. 교착점이 많기 때문에 가장 강한 조직이며 광택이 적고 구김이 잘 가는 특징이 있으며 촉감이 뻣뻣하고 드레이프성이 좋지 않습니다. 경사와 위사를 교차 시키는 가장 간단하고 단순한 방법으로 경사는 번갈아가며 위사의 위아래를 지나가는 조직 입니다. 완전 조직은 경 위사 2올로 구성되며 직물의 표면과 이면이 동일한 조직 입니다. 경사와 위사를 가장 많이 교차시킬 수 있으므로 마모 저항성과 실의 미끄럼 저항성이 높은 직물을 제조할 수있는 직물 조직 입니다.

여름옷 시원한 여름 옷 소재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여름 옷 재질, 여름 옷 소재, 시원한 소재, 시원한 옷 천[알아보기]

직물 조직 능직

직물 표면에 이랑 모양의 무늬

능직의 직물 조직 형태를 살펴보시면 경사 2올에 위사 1올 또는 경사3올에 위사1올을 교차시켜 제직 한 직물입니다. 직물 표면에 이랑 무늬를 형성하는 조직을 이야기 합니다. 남색의 경사와 백색의 위사로 짠 청바지를 잡아 당겨보시면 능직의 빗방향 이랑무늬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능직으로 이루어진 직물 조직이 촘촘하며 광택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능선의 방향과 각도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한 부분이 있습니다. 모직인 서지, 개버딘, 헤링본 등의 양복지나 면직인 태릉, 세릉 등 작업 복지를 대표적인 것으로 이야기 하게 됩니다.

조직점이 능성 모양 특징

능직은 날실 또는 씨실이 연속해서 2올 또는 그 이상의 올과 상하로 교차되어 조직점이 능선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능직은 평직에 비하면 마찰에는 상당히 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터우면서 부드러운 직물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신축성이 있으며 구김이 덜 생기고 광택이 상당히 좋고 때가 덜 묻게 되는 특징이 있어서 실용적인 직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님, 서지, 개버딘, 진 등이 대표적인 능직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물 조직 수자직 (주자직)

직물 표면에 위사 또는 경사가 많이 드러나게

경사와 위사의 조직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게 되며 직물의 표면에 경사 또는 위사가 많이 나타나게 하는 직물입니다. 위사1올에 경사4올 이상을 교차시켜 짜는 방법 입니다. 따라서 교차점이 적기 때문에 실의 굴곡이 가장 적고 조직점도 연속되지 않으며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직물이 매끄럽고 광택이 있으나 마찰에 약한 단점이 알려져 있습니다. 직물 조직 수자직 용도로는 견 수자직이 고급 여성용 한복감, 양장감, 넥타이, 이불감으로 그 밖의 수자직은 양산감이나 커튼감으로 쓰이게 됩니다.

제직 준비공정 내용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제직 준비공정, 권사, 정경, 사이징 sizing, 통경, 틀걸기[알아보기]

원단 광택이 좋고 구김이 덜 생기게 마찰에 약한 직물

주자직 수자직은 날실 또는 씨실의 조직점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하면서 연속 시키지 않으면서 분산 시켜 표면에는 날실 또는 씨실만 나타나게 한 조직입니다. 수자직 주자직으로 짠 옷감은 부드럽고 매끄러운 느낌이 들고 원단에 광택이 좋으며 구김이 덜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마찰에 약해서 그렇게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습니다. 공단, 양단, 새턴, 도스킨 등이 대표적인 수자직 주자직 직물입니다.

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주자직) 직물 조직 마무리

직물 조직으로 삼원조직 평직 능직 수자직 주자직을 기본으로 해서 직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른 직물 조직 변화를 통해서 직물 조직 개발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물 조직 가운데 삼원조직은 가장 기본이 되는 조직이며 평직은 강하고 질긴 원단이 되며 능직은 교차점이 사선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수자직 주자직은 광택이 좋고 구김이 덜생기게 하지만 마찰에 약한 직물 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