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 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세탁을 하실 때 세제를 많이 넣게 된다면 세척력의 변화가 없이 잔류 세제만 늘어나는 결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세탁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피부트러블 예방에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세탁을 하실 때 세제를 많이 넣게 된다면 빨랫감이 깨끗해 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주의해야 합니다. 잔류 세제의 경우 옷에 남아서 피부를 자극해 피부트러블의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세탁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세탁 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세탁 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친수기와 친유기

세탁을 하시면서 세제의 사용은 중요한 사항입니다. 또한 물과 친한 부분인 친수기와 기름과 친한 부분인 친유기를 모두 가진 계면활성제 입니다. 친수기는 세제가 물속 어디든지 돌아다닐 수 있게 하며 친유기는 세탁물 속 기름때와 불순물 등이 붙게 되는 것 입니다.

관련글 : 세제의 양, 세탁 세제 사용량

세제에 쓰이는 정량까지 세척 효과

이후 불순물이 붙은 친유기의 경우 세탁물에서 떨어져 안쪽으로 모이게 되며 친수기가 바깥을 둘러싸 미셀이라는 둥근 모형을 형성한 후 물속을 떠다니게 됩니다. 문제는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에 이르게 되면 미셀이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게 됩니다. 세제에 쓰여있는 정량까지는 세척 효과를 내게 됩니다. 그러나 그 이상 넣은 세제의 경우 세척력을 높이지 못하고 물과 세탁물에 남아있게 됩니다. 이를 잔류 세제라고 합니다.

다양한 화학물질을 포함

세제에는 계면활성제 외에도 인산트리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트라이클로로에틸렌 등 수많은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세제의 성분들이 옷에 남아 있게 되고 피부에 닿게 된다면 화학적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산트리나트륨은 강알칼리성 성분이라 고농도에 노출되면 폐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피부트러블의 발생 잔류세제 의심

치아염소산나트륨은 살충제 성분으로 화학적 화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트리크로로에틸렌은 얼룩 제거에 사용되는 물질이며 발암성 등급 2A로 분류돼 있어 되도록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성분들이 섬유 사이에 끼어서 피부 세포를 자극하게 된다면 피부 지질 성분이 파괴돼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습진, 모낭염, 발진 등으로 악화할 수도 있습니다. 세탁한 옷을 입었는데 몸이 가렵거나 따가운 느낌이 든다면 잔류세제가 남아있지 않은것인지 의심해 봐야 합니다.

헹굼 단계에서 식초 사용

보통의 경우에는 세제 농도가 0.25% 넘게 된다면 잔류 세제를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빨래 무게에 따른 표준 세제량만 넣어주는 게 가장 좋습니다. 걱정 되는 경우라면 헹구는 단계에서 식초를 한 컵 넣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산성인 식초가 알칼리성인 잔류 세제 성분을 섬유와 떨어뜨리기 때문입니다.

정량의 세제 사용

계면활성제에 지속해서 노출되는 경우에는 면역기능 저하와 점막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어린이는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등의 위험도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물 1L당 1.5~2mL 정도의 세제를 사용하고 헹굼 과정에 특히 신경 쓰는 것이 안전한 부분입니다.

관련글 : 세탁 원리, 세제가 옷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 원리

세탁 후 잔류 세제 없애는 방법 마무리

가루 세제의 경우에는 미지근한 물에 장갑을 끼고 잘 녹인 다음에 세탁하는 것이 좋은 방법 입니다. 특히 피부가 민감한 사람의 경우에는 가루 세제보다 액상 세제 사용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옷에 남아있을지도 모를 세제 잔류물들이 날아갈 수 있도록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옷을 잘 펴서 건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눈으로 그냥 보기에는 깨끗해 보이는 세탁기와 그 속에서 빨린 옷들 하지만 세제찌꺼기를 제대로 관리하시고 청소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세탁법은 세제 찌꺼기를 남기지 않는 것이며 표준사용량이 넘는 세제의 사용은 오히려 세척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찌꺼기로 남게 되므로 정량의 세제 사용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