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냄새, 방금 세탁해도 냄새 나는 옷 처리 방법은?

방금 세탁한 옷에서도 썩은 냄새 쉰냄새가 나는 경우 있습니다. 특히 비오는 날이나 습도가 높은날 건조하는 경우에 냄새가 나는 경우 많은데 이외에도 빨래한 옷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세탁기와 세탁물의 관리가 잘되지 않는 경우 특히 젖은 세탁물을 그대로 방치하는 겅우에 온도가 높고 습한 환경에서는 세탁물의 미생물이 증식 되면 썩은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 것 입니다. 냄새가 발생하는 원인 미생물을 세탁 과정에서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건조 후에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잔여물이 세탁기나 건조기 제품 내부를 오염 시키면서 세탁 옷의 냄새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방금 세탁한 옷에서 썩은 냄새 나는 원인과 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썩은 냄새, 방금 세탁해도 냄새 나는 옷 처리 방법은

방금 세탁해도 냄새 나는 옷 처리 방법

습한 상태 방치

옷을 습한 상태 그대로 방치 하면 냄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땀에 젖은 의류, 물에 젖은 수건등과 같이 습한 상태의 옷감들은 습기를 없애고 이후에 빨래 보관함에 넣어서 세탁 해야 합니다. 세탁후에 탈수가 완료 되었다면 방치해 두시지 마시고 건조시켜야 합니다. 건조가 완료된 옷감은 바로 건조기에서 꺼내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 주시는 방법을 사용하면 빨래에서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중요한 사항이 옷을 습한 상태로 방치 하지 않는 것 입니다. 건조한 상태로 옷을 두신다면 세균의 번식이 없고 냄새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옷에서 좋은 냄새를 유지 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은 향기 나는 옷을 유지 관리 할 수 있게 됩니다.

관련글 : 옷장 냄새 관리, 향기 나는 옷장 관리 방법

수건이나 속옷 냄새 

수건이나 속옷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면 섬유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경우 냄새 제거 방법으로 고온으로 세탁해서 때와 먼지를 제거하고 냄새도 제거 하는 것이 좋은 방법 입니다. 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특히 옷감을 고온으로 삶는 것이 상당히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옷감 라벨을 확인해 보시면 끓는 물이나 세탁기로 삶음 진행이 가능한 옷감인지 확인 해보시고 세탁 방법을 준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땀과 오염에 의한 냄새

땀에 젖은 옷이나 다양한 오염으로 인한 옷에 냄새의 경우에는 베이킹 소다를 사용하셔서 세탁해 주신다면 냄새를 제거하는데 상당히 유용하며 마무리 하는 세탁 헹굼에서는 구연산을 넣어 헹구어 주시면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냄새가 심한 경우에는 산소계 표백제를 사용하여 세탁을 하시는것도 좋습니다. 베이킹소다, 구연산, 표백제를 사용 하시게 된다면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좋습니다.

특히 운동복 땀에 찌든 옷 세탁 방법 아래 관련글 내용 알아두시면 상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 운동복 깨끗이 냄새 없이 세탁하는 방법

세제와 섬유 유연제 사용 방법

옷에 냄새 관리 방법으로 중요한 사항이 옷을 세탁 하실 때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적당량 만큼만 넣어줘야 하는데 너무 많이 넣을 경우, 세탁기 제품 내 녹지 않으며 축적되어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의 적정 사용량에 대해서 제품 설명서 읽어보시고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할 것 입니다. 또한 건조기를 사용하시게 될 때 전용 섬유 유연 시트를 사용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 하실 때 제공된 건조기 전용 섬유 유연 시트를 사용하시면 건조물이 보다 부드러워지며, 정전기 방지 및 옷에 좋은 향기가 오랜 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세탁기 건조기 관리 방법

옷을 세탁 하실 때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본 세탁 후 드럼 내부를 충분히 환기해 주시는 것이 중요하며 주기적으로 통 세척 및 세탁 후 마른 천으로 도어 및 고무 패킹에 묻은 먼지를 닦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단의 배수 펌프 거름망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시고 세제나 섬유 유연제 제조사의 권장량을 사용해 주셔야 할 것 이며 세탁기가 오염된 경우 서비스 센터 엔지니어를 통해 조치를 받으셔야 할 것 입니다. 또한 건조기를 주기적으로 관리해 주셔야 하는데 건조 후 드럼 내부를 충분히 환기해 주시고 건조기 문을 열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 후 건조물에서 냄새가 날 경우 사용 중인 세탁기 내부 냄새를 확인해 주시고 세탁기 통 세척을 진행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기 필터는 건조기를 사용할 때마다 매회 깨끗하게 청소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필터를 세척 하시고 이후에 완전히 말려서 장착을 해주시는 것이 중요한데 완전히 마르지 않은 필터 장착 시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조기를 사용 하시기 전에 배수통을 비워서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제거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옷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해결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 옷에서 냄새가 날 때 원인, 옷 냄새 없애는 방법

썩은 냄새, 방금 세탁해도 냄새 나는 옷 처리 방법 마무리

옷을 빨아도 냄새가 나는 경우 흔하게 발생 할 수 있는 경우인데 특히 땀을 많이 흘리고 습하고 더운 날씨 혹은 운동후에 땀에 젖은 옷은 퀴퀴한 옷 냄새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방금 세탁한 옷인데도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해줘야 할 것 입니다. 새로 세탁한 옷을 입었다 해도 외출 후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땀과 습기의 환경이라면 악취가 올라올 수 있습니다.

옷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세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땀을 흘린 만큼 운동을 했거나 일을 했다면 집으로 와서 입었던 옷을 빨아야 냄새의 발생이 없습니다. 당장 냄새가 나지 않는 것 같아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면 섬유에 묻은 땀과 습기로 인해서 세균이 번식해 지방산·암모니아 등 화학 물질을 만들고 시큼하고 퀴퀴한 냄새를 풍기게 되는 것 입니다. 입었던 옷은 외출 후 바로 세탁하면 냄새가 없어지게 되며 세탁 후 잘못된 건조 냄새가 나는 상태로 오래 방치해 둔 상태라면 세탁만으로는 냄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냄새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악취가 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