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단 제작 직물, 직기의 역사 종류 직기의 구조

원단 제작 직물 형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 대표적인 방법이 제직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직기의 역사는 인류가 가장 먼저 만든 기계 종류가 직기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며 직기의 종류도 지금에 와서는 상당히 많고 기본적인 직기의 구조는 과거 북직기와 원리와 구조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원단 제작 직물, 직기의 역사 종류 직기의 구조 알아보겠습니다.

원단 제작 직물, 직기의 역사 종류 직기의 구조

원단 제작 직물, 직기의 역사 종류 직기의 구조

원단 제작 직물

원단 제작 방법으로 주로 제직이나 편직, 레이스, 브레이드, 네트, 부직포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게 됩니다. 요즘은 혁신적인 제직기의 발전으로 인해서 다양한 무늬의 직물을 빠르게 자동화로 자유롭게 제직 하는 방법들이 상당히 많아져 있습니다. 획기적인 위사 삽입방법을 사용하여 직기의 고속화를 실현한 것이 바로 셔틀리스 직기 이며 이후에 래피어직기,에어 제트 직기,워트 제트 직기 등의 개발로 시설원가 유지및 인건비 줄이기 등 제직원가를 상당한 수준으로 줄이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사이징 정보 아래 관련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사이징 sizing 경사 풀 먹이기 가호공정, 가호 뜻[알아보기]

직기의 역사

직기는 인류가 발명한 최초의 기계로 불리고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기계 종류 입니다. 가장 오래된 직기는 기원전 4,000년 경의 것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오래 되었는데 이집트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심지어 기원전 450년 경 그리스 회화를 묘사한 회화에 직물을 짜고 있는 그림이 묘사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직기는 발전하게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러 다양한 혁신적인 직기들이 활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직기의 종류

직기의 종류는 북직기 수직기 족답직기 역직기 등이며 셔틀리스 직기로 레피어식 워트 에어 제트직기 등이 있습니다. 인력으로 조작되는 수직기는 직기의 작동구조에 따라 요기형 수직기, 수동식 수직기, 반자동식수직기, 족답기로 분류하였습니다. 역직기는 증기, 수력, 전기 등의 동력으로 조작되는 직기입니다. 또한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역직기가 있지만 우리나라 근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던 북이 있는 셔틀 직기가 있습니다.이후에 직기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요즘은 셔틀리스 직기인 레피어 에어 제트직기등이 있습니다.

직기의 구조

간단한 직기의 구조를 알아보신다면 경사빔, 직물빔, 종광, 북, 바디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옷 재질 정보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여름 옷 재질, 여름 옷 소재, 시원한 소재, 시원한 옷 천[알아보기]

경사빔

경사를 감는 틀이며 경사를 직물의 폭에 맞추어 필요한 가닥수만큼 경사빔에 감아서 직기에 걸어줍니다. 경사의 길이는 제직될 직물의 길이에 준해서 준비합니다.

직물빔

경사는 경사빔과 직물빔 사이에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걸리게 되며 짜인 직물은 직물빔에 감기게 됩니다.

종광

경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나있는 철사줄을 종사라 하며 종사들을 잡아주는 틀을 종광이라고 합니다. 경사빔에 감긴 경사를 한올 씩 종사의 구멍에 끼워 통과 시키면 종광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경사도 함께 움직이면서 개구가 형성되는 방법입니다.

위사를 담아서 운반해주는 역할을 하며 경사들을 가로지르는 개구로 위사를 담은 북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북을 세게 밀어보내며 이를 북침이라고 하며 이 북침에 의해서 위사가 운반됩니다.

면방적 면사방적 내용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면방적, 면사 방적, 실만들기,혼타면,소면,정소면,연조,조방,정방[알아보기]

바디

빗과 같은 구조이며 나무 또는 금속 틀에 많은 바디살이 끼워져 있으며 바디살의 밀도는 짜인 직물의 밀도에 따라서 선택됩니다. 경사빔으로 부터 풀려나와서 종광을 통과한 경사는 바디살 사이에 한가닥 또는 두가닥 끼워진 후 직물 빔으로 연결되고 직물빔으로 연결되는데 이과정을 통경이라고 합니다. 바디는 투입된 위사를 이미 짜인 직물 쪽으로 쳐서 균일하게 밀어줌으로써 직물을 촘촘하게 하는데 이를 바디침 이라고 합니다.

원단 제작 직물, 직기의 역사 종류 직기의 구조 마무리

원단 제작을 위한 직기의 역사는 가장 오래된 기계 종류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물이 짜이기 위한 방법으로 최소한 2개의 종광이 있어야 하며 제직에 사용되는 종광의 수를 매수라고 하며 3매능직 혹은 5매 수자직 등으로 표현하고 알려져 있습니다.

직기의 종류는 상당히 광범위 하고 일반적으로 위사 운반용의 북을 사용하는 재래식 직기와 북을 사용하지 않는 비재래식의 혁신 직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