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옷을 더 희게 흰옷 세탁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흰옷을 입으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아졌고 흰옷은 보기에도 상당히 깔끔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는 대신 땀이나 먼지에 쉽게 오염되어서 쉽게 때가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어서 얼룩덜룩해지기도 하며 때가 잘 빠지지 않아 입기에 힘들어 질 수 있는 옷이기도 합니다. 또한 벗어두고 관리를 하지 않았다면 누렇게 변색되기 쉬워서 세탁과 관리 방법에 따라서 옷의 수명이 정해지게 될 수 있습니다. 흰옷은 기본 세탁이나 탈수 건조 하는 방법도 지켜줘야 하며 혹은 삶아도 되는 소재의 흰옷은 삶아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소재의 옷은 세탁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 입니다. 아래 글에서 흰옷을 더 희게 흰옷 세탁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흰옷을 더 희게 흰옷 세탁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소재별 흰옷 세탁 방법 

많은 분들이 입고 계신 깨끗한 흰옷을 가장 깨끗하게 세탁하는 방법으로 삶는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삶을 수 있는 흰옷의 소재는 삶게 되면 간단하게 흰옷을 더 희게 청결히 입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삶지 못하는 고급 소재의 옷도 상당히 많으므로 흰옷의 소재에 따라서 세탁 방법도 달라져야 합니다. 또한 아토피나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시판되고 있는 표백제를 사용하시게 된다면 피부트러블이 더 심해 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레몬이나 달걀 껍질과 같은 천연 재료를 이용해서 세탁을 하게 된다면 흰옷에 묻은 다양한 얼룩이나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면 섬유

옷에 특히 먼지와 때가 묻어 있는 오염된 부분에 적당히 희석한 산소계 표백제를 분무기로 뿌려주셔야 합니다. 부드러운 솔로 가볍게 두드려 주시고 35℃ 정도의 물에 옷을 담아 두시면 됩니다. 이후에 30분 정도 경과하고 세탁기로 빨래를 하시거나 손세탁을 하시면 됩니다. 고급 면이나 라벨에 드라일클리닝의 해야 하는 면섬유 옷의 경우에는 줄어들 수 있으므로 드라이클리닝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온과 아세테이트

레이온 섬유 혹은 아세테이트 소재의 옷들의 경우에는 물 세탁을 하게 되면 수축이 심해지기 쉬운 옷감들이기 때문에 전문 업소에 맡겨 드라이클리닝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물세탁을 해야 하는 경우에 약알칼리성 비누나 합성세제를 물에 풀어주시고 옷을 담가 손세탁을 하시면 흰옷이 더욱 희게 때가 잘 빠지게 됩니다. 마트에 판매되고 있는 울 샴푸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세탁을 하시면 깨끗이 세탁이 가능하게 됩니다.

마 섬유

마 섬유소재의 옷은 세탁이 어려운 옷 소재입니다.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하거나 손세탁을 해야 하는 옷 소재 입니다. 마지막 헹굼물에 쌀뜨물을 섞어주시면 마 섬유의 옷이 풀을 먹인 것처럼 빳빳해지고 색도 하얗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건조하실 때에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요령입니다.

실크 섬유

실크 소재의 섬유는 아무래도 고급 소재의 옷이기 때문에 집에서 세탁하는 것보다 전문 업소에 맡겨서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가피하게 집에서 세탁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중성세제로 손세탁을 해야 할 것 입니다. 찬물 세탁을 하시고 마지막에는 찬물에 가볍게 흔들어 주시고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시고 이후에 그늘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 좋습니다.

울 섬유

동물성 천연섬유인 울의 경우에는 특히 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옷감입니다. 물세탁을 하게 되면 옷감이 수축하고 변형될 수 있으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손 세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가의 옷이 많고 변형이 될 수 있으므로 전문 세탁업소에 드라이클리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흰옷을 더 희게 흰옷 세탁 방법 마무리

흰옷에는 유난히 커피나 음식물이 더 쉽게 묻어 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때 급하게 생각 없이 비누와 물로 옷을 세탁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실크, 울 등의 옷 소재는 성급하게 물로 세탁하지 마시고 즉시 드라이클리닝을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물로 세탁을 하게 된다면 물 얼룩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적당한 양의 세제를 사용하시고 여러 번 헹구어 주시면 흰옷은 세탁해서 그냥 넣어 두어도 시간이 흐른 뒤 꺼내보면 옷깃 등이 누렇게 된 경우가 있습니다. 세탁을 하실 때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게 된 알칼리성 세제 성분이 공기와 지방산 등과 만나 황변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흰옷의 경우에는 세탁을 제대로 하지 않으시고 그냥 옷장에 오래 보관하시게 되는 경우에도 누런 얼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세제는 적정량만 사용하시는 것이 좋고 여러 번 헹궈 건조 시킨 후 보관해야 변색을 막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당일날 입어서 땀을 흘리고 먼지가 묻은 흰옷을 그냥 놔두게 된다면 땀의 얼룩이 옷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면서 오염될 수 있으므로 그날 입은 옷은 그날 바로 세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흰 와이셔츠 목의 때 부분 항상 문제 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베이비파우더를 솔솔 부린 뒤 솔로 문지르시면 때가 제거 됩니다. 이외에도 식초와 소금물, 레몬 등을 넣어주시고 흰옷을 삶게 된다면 흰옷을 더 희게 만드는 표백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